원자력기사 기출문제 풀이/2015년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발전로계통공학 6 ~ 10번

꽃게탕~~ 2025. 3. 9. 21:04

 

 

 

46. 원자로 압력용기의 감시시험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감시시험 함은 노심 중앙의 연료집합체 사이에 설치된다.
    ② 감시시험 함에는 시편과 함께 온도 감시자와 중성자속 감시자가 내장되어 있다.
    ③ 감시시험 프로그램에는 중성자 조사에 의한 원자로 압력용기의 기계적 물성치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④ 감시시험 함의 인출시기는 조사량과 수명말기에 예상되는 기준 무연성 천이온도 변화량에 따라 결정된다.

 

참고 : 원자로압력용기 감시시험 기준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04024

 

 

 

압력용기 감시시험 : 중성자 조사로 인한 조사취화를 감시하기 위한 시험

  - 경수로형 원전 운영기간 동안 원자로 내부에 부착된 감시용기를 감시시험계획에 따라 인출. 감시용기에 내장된 시험편을 사용하여 충격, 인장, 파괴인성 시험을 통해 기계적 물성변화를 측정한다.

  - 압력용기 재료인 페라이트계 저합금강은 중성자 조사를 받으면 파괴인성이 감소하고 무연성천이온도가 고온쪽으로 이동하는 조사취화 현상이 발생한다. 주기적인 감시시험을 통해 조사취화 정도와 원자로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1번 : 감시시험함은 노심과 압력용기 사이에 설치된다. 

 

2번 : 감시시편과 함께 중성자 감시자와 온도감시자가 함께 설치된다. (원자로압력용기 감시시험 기준 제 4조)

 

 

3번 : 원자로압력용기 감시시험기준 제 3조 용어 정의에도 나와 있다.

 

4번 : 원자로압력용기 감시시험기준 별표 2에 명시된 기준에 맞추어 인출한다. 예상 무연성천이온도 변화량과 조사량에 따라 달라진다.

원자로압력용기 감시시험 기준 별표 2

 

정답 : 1

 


47. 전기출력 1,000 MWe인 원전에서 초당 소모되는 U-235의 양과 가장 가까운 값은?
(단, 에너지는 U-235의 핵분열에 의해서만 생산되며 핵분열 당 생성에너지는 200 MeV/fission, 1 MeV = 1.6×10^(-13) J, 열효율은 33 %를 가정한다.)
    ① 10 mg/s    ② 40 mg/s    ③ 100 mg/s    ④ 400 mg/s

 

전기출력 1000 MWe 이고 열효율이 33 % 이므로 열출력은 1000/0.33 = 3030.3 MWth 이다.

1 W = 1 J/s 이므로 열출력은

 

3030.3 MWth = 3030.3*10^6 J / s = 1.89*10^(22) MeV / s 이다.

 

1 분열 당 200 MeV 가 생성되므로, 초당 분열횟수는 위 값을 200으로 나누어

9.46 * 10^(19) fission / sec 이다.

 

U-235 아보가드로수가 235 그램이므로, 초당 분열되는 U-235 질량은,

 

$9.46*10^{19} * \frac{1}{0.602*10^{24}}*235 = 0.037 g/sec$

이다.

문제에서는 포획대핵분열비를 제공해주지 않았다.

 

이렇게 구한 37 mg/s는 단지 핵분열로 소모되는 것 U-235의 양이다.

근데 핵분열말고, 중성자를 포획하여 U-236으로 변하면서 소모되는 것도 고려를 해주어야 정확하다.

대략 이 포획대 핵분열비를 0.17 이라고 하면, 핵분열 1번이 일어날 때, 중성자 포획이 0.17 번 일어난다는 뜻이다.

핵분열이 초당 37 mg 발생하면, 포획을 포함하여 U-235가 소모되는 양은

 

$$ 37 mg/s * (1 + 0.17 ) = 43 mg/s $$

 

이다. 

 

정답 : 2

 


48. 다음 (가) ~ (라)에 들어갈 단어로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① 팽윤, 감소, 고밀화, 증가
② 팽윤, 증가, 고밀화, 감소
③ 고밀화, 감소, 팽윤, 증가
④ 고밀화, 증가, 팽윤, 감소

 

 

 

이산화우라늄이 연소돠면 고밀화와 팽윤현상이 발생한다.

고밀화 : 제작 시 포함된 기공이 소멸하면서 밀도가 증가하고 부피가 감소하는 현상

팽윤 : 연소에 따른 기체핵분열생성물의 결합, 고체핵분열생성물에 의한 부피 증가 등으로 인해 밀도가 낮아지고 부피가 증가하는 현상

 

연소 초기에는 고밀화가 우세하다가, 점차 팽윤이 더 우세해져 위와 같은 부피변화를 보인다.

 

정답 : 3

 


49. 원자로 압력용기는 운전연수가 증가하면 중성자 조사에 의해 기준무연성천이온도와 최대충격흡수에너지가 변화한다. 각각의 변화를 바르게 기술한 것은?
    ① 모두 증가
    ② 모두 감소
    ③ 무연성 천이온도 증가, 최대 충격 흡수에너지 감소
    ④ 무연성 천이온도 감소, 최대 충격 흡수에너지 증가

 

 

 

무연성천이온도 : 재료가 이 온도 위에서는 연성을 띄고, 이 온도 아래에서는 취성을 띈다. 이 온도에서 흡수에너지가 급격하게 낮아진다.

최대흡수에너지 :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

 

위 그래프에서 재료가 조사되면, 파란선에서 빨간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무연성천이온도는 증가, 최대흡수에너지는 감소한다.

원자로 압력용기는 무연성천이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운전되어야 취성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무연성천이온도가 증가한다라는 뜻은, 원자로압력용기의 운전영역이 더 높은 온도로 제한된다는 의미이다.

 

 

정답 : 3

 


50. 연료봉 중심온도와 냉각재 온도 사이의 열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맞는것끼리 연결된 것은?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나, 다    ④ 나, 라

 

 

열저항 : 열전달을 방해하는 정도로, 전기회로에서의 옴의법칙과 비슷한 개념이다.

즉, 전위차(V) = 온도차($\Delta T$),  전류(I) = 열량(Q) 이라고 보고, 전기저항(R) = 열저항($R_{th}$)이라고 보면,

 

$$ V = IR,   \Delta T = QR_{th}$$

가 성립한다.

 

전도의 경우 $Q = kA \Delta T/L $

대류의 경우 $Q = hA\Delta T $ 

에서, 

열저항은 각각

$R_{th} = L/(kA) $ 와 $R_{th} = 1/(hA)$  이다.

 

 

가. 연료 펠렛 지름이 증가한다면, 연료펠렛 중심과 외곽과의 온도차 (전위차)는 더 커진다. 따라서 열저항도 더 커진다.

 

나. 열전도도가 증가하면, 열저항은 감소한다.

 

다. 연료와 피복재 사이의 갭이 증가하면 온도차이가 커지고 열저항은 커진다.

 

라. 열전달계수가 증가하면 열저항은 감소한다.

 

 

정답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