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기사 174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6 ~ 20번

96. 유리성 섬유 필터를 이용하여 작업장 내 부유성 공기시료를 포집하였다. 작업장 내 공기오염도(Bq/m^3)은 얼마인가?(단, 필터의 포집효율은 80%이며 포집기 유량률은 2.5 L/min, 포집시간 100분, 계측기 측정효율은 10%, 계수값은 2400 cpm(자연계수값 제외)이다.)    ① 250    ② 500    ③ 1,000    ④ 2,000 가정 : 포집시간, 계측시간동안의 방사능붕괴는 없는 장반감기 핵종임. 만약 단반감기 핵종이라면, 포집, 계측시간 동안의 방사능감쇠를 고려해주어야 함. 이 문제에서 반감기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무시함. 공기오염도를 X (Bq/m^3) 이라고 하면,100분동안 80 % 효율, 2.5 L/min ( = 0.0025 m^3/min)의 유량률로 채취한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1 ~ 15번

91. 다음 중 전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방사선을 발생하는 제동복사 현상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① 제동복사에 의하여 연속 엑스선이 발생한다.    ② 제동복사는 전자와 상호작용하는 물질의 Z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③ 입사 전자의 최대 에너지가 클수록 제동복사는 더 잘 일어난다.    ④ 밀도가 큰 물질을 사용하여 제동복사 발생을 낮출 수 있다. 고에너지 하전입자(주로 전자)가 원자핵 주변을 지나면서 궤도가 바뀌면서 에너지가 감소한다. 그 에너지 감소분만큼 전자기파를 방출하게 되는데 그것이 제동복사선이다. 1번 : 제동복사선은 연속스펙트럼이다. 처음 하전입자의 에너지보다 작은 에너지들이 연속적으로 나온다. 2번 : 제동복사선은 타겟핵의 원자번호가 높을수록 잘 발생한다. 3번 : 전자의..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6 ~ 10번

86.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저 LET 방사선이 고 LET 방사선에 비해 산소 효과비(OER)의 값이 크다.    ② 방사선 피폭 후 백혈병의 발생은 일정한 잠복기를 갖은 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한다.    ③ LET가 증가하면 RBE도 증가하다가 최대 값에 도달한 후 감소한다.    ④ 방사선피폭에 따른 일반 고형암의 발생은 최소 잠복기 이후 노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한다.  1번 : 산소효과비는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 방사선의 영향이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산소효과의 기전 중 일부는 방사선에 의해 물이 분해되서 생기는 수소 유리기가 산소와 만나서 반응성이 강한 과산화수소가 생기는 것이다.이런 현상은 방사선의 간접작용과 관련되는 것이다. 저 LET 방사선이 고 LET 방사선에..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 ~ 5번

81. 6 MeV 알파입자가 자신의 에너지를 모두 잃고 정지하였다면 이론적으로 반치폭(FWHM)은 약 얼마인가? (단, W값은 30 eV, 파노인자(Fano Factor)은 0.1이다.    ① 10 KeV    ② 20 KeV     ③ 30 KeV    ④ 40 KeV Fano 인자 : 실제 방사선 계측으로 인한 분산이 이론적인 포아송분포에 따른 분산과 다름을 보정하기 위한 인자 W 값 : 이온쌍 한개를 생성하기 위한 에너지 반치폭 : 피크높이의 절반인 높이에서의 피크 폭 측정된 에너지의 표준편차를 $\sigma$ 라고 하면, 반치폭은 $2.35\sigma$ 이다. 계수는 포아송분포를 따르고, 계수값은 에너지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보인다.$$N = E/w$$ 포아송분포에서 계수치의 분산은 평균과 같은..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6 ~ 20번

76.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시사점 중 우리에게 주는 주요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① 사이버 보안 강화    ② 비상 대체수단 적기 공급    ③ 격납시설 성능 강화 및 수소제어계통 개선    ④ 다수호기 원전사고를 가정한 비상대응능력 강화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지진해일로 인한 소외전원과 비상디젤발전기 상실(SBO). 이후 비상냉각수 공급의 지연으로 격납건물이 수소폭발로 인해 손상되는 사고였다. 사고의 원인으로는,1. 설계의 불완전 : 중대사고에 취약하고 부지특성의 반영이 미흡한 설계.2. 지진해일 : 교류전원 완전상실. 직류전원 상실. 핵심기기와 계측제어기능의 상실이다.  사이버보안과는 무관하다. 정답 : 177. 중대사고 발생 시 사고 전개에 따른 사고관리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1 ~ 15번

71. 다음 중 원자로 사고 시 방사성 물질 방출방지벽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감시되어야 하는 필수 안전기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반응도 제어     ② 원자로건물 압력제어    ③ 냉각재 재고량 제어    ④ 원자로건물 집수조 수위 제어  필수안전기능 : 연료와 피복재, 냉각재계통 압력경계 및 격납용기 벽에 대한 안전기능 상태를 확보하고 발전소를 안전하게 조치하여 방사능물질이 과도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시되고 추적되는 인자들. - 노심 반응도 제어 - 노심 열제거 - RCS 재고량 제어 - RCS 압력 제어 - RCS 열제거 - 격납건물 건전성 제어 ( 격납건물 온도, 압력, 격리) - 필수보조설비 유지 정답 : 472. 출력운전 중 냉각재펌프(RCP)가 모두 정지된 경..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6 ~ 10번

66. 출력 100% 운전 중인 PWR형 운전 고온관 과냉각 여유도는 얼마인가?    ① 19.5 ℃     ② 35.5 ℃     ③ 50.5 ℃     ④ 66.5 ℃ OPR의 경우운전압력 15.5 MPa 에서 포화증기온도는 345 ℃ 정도이고,고온관은 327 'C, 저온관은 296 ℃ 정도이다. 과냉각여유도는 물이 끓기까지 의 여유도를 말하며, "포화증기온도 - 물의 온도 " 로 계산된다.고온관의 과냉각여유도는 19 ℃ 정도 이다. 이렇게 300 ℃가 넘는 고온에서도 물을 끓지 않게 하려고 가압을 하는 것이다.  정답 : 167. 가압경수로형 원전 출력운전 시 제어봉은 삽입한계 이상으로 유지하여 제어한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정지여유도 유지    ② 고온관을 일정온도 이상 유지    ③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 ~ 5번

61. 다음 중 원자로 건물 설계 시 고려되는 수소 발생원이 아닌 것은?    ① 피복재의 물과의 반응    ② 냉각재로부터의 발생 수소    ③ 노심 및 집수조의 물의 방사선 분해    ④ 원자로건물 내 설치한 탱크의 상부기체 배기 LOCA 시 수소발생원은 다음과 같다.1. Zr 피복재와 물의 반응 $Zr + H_2O \rightarrow ZrO_2 + H_2$ 2. 냉각재 내 용해된 수소의 수소의 방출. RCS에는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소가 주입되는데, 그 수소가 방출됨 3. 계통의 금속재질과의 부식. 특히 Al, Zn.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생성한다. 4. 노심 과 집수조 물의 방사분해 $2H_2O \rightarrow 2H_2 + O_2$ 정답 : 4 62. 다음은 원자로의 DNB 운전여유도..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발전로계통공학 16 ~ 20번

56. 원전 원자로 노심의 핵비등 이탈(DNB) 지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핵비등에서 부분막비등으로 천이되는 지점    ② 열전달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지점    ③ 임계열유속인 지점    ④ 안전제한치로 관리되어야 하는 지점  위의 온도 - 열유속 곡선에서 점 a 가 핵비등이탈점이다.가로축은 전열면온도 - 포화온도인데, 전열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I : 자연대류II ~ III: 핵비등IV : 부분막비등V : 막비등으로 열전달이 진행된다. 원자로 1차계통의 정상운전 범위는 II. 과냉핵비등영역이다. 이 영역에서는 전열면(핵연료봉 표면)에서 기포가 생기고, 그 기포는 냉각재 속에서 수축하여 소멸하면서 열을 전달하게 된다.핵비등에서 부분막비등으로 넘어가는 점 a 를 임계열유속이라고 하는데, 이..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5년 발전로계통공학 11 ~ 15번

51. 배관에 유체가 흐를 때 압력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① 유체의 속도 ② 배관의 직경 ③ 유체의 밀도 ④ 유체의 표면장력 관에서의 압력강하는 달시-바이스바하 식을 따른다.$$\Delta P = \frac{1}{2}f\frac{L}{D}\rho v^2$$f : 마찰계수L : 관 길이D : 관 직경v : 유체 속도$\rho$ : 유체 밀도 정답 : 4 52. 원자로의 열수로계수(HC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HCF는 연료의 연소도에 영향을 받는다. ② 균질한 원자로에 비해 실제 원자로의 열수로계수가 더 높다. ③ HCF가 낮을수록 원자로 노심의 안전여유도는 증가한다. ④ HCF는 연료 및 피복재의 가공상 공차에 영향을 받는다. 열수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