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다음 중 원자로 사고 시 방사성 물질 방출방지벽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감시되어야 하는 필수 안전기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반응도 제어 ② 원자로건물 압력제어 ③ 냉각재 재고량 제어 ④ 원자로건물 집수조 수위 제어
필수안전기능 : 연료와 피복재, 냉각재계통 압력경계 및 격납용기 벽에 대한 안전기능 상태를 확보하고 발전소를 안전하게 조치하여 방사능물질이 과도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시되고 추적되는 인자들.
- 노심 반응도 제어
- 노심 열제거
- RCS 재고량 제어
- RCS 압력 제어
- RCS 열제거
- 격납건물 건전성 제어 ( 격납건물 온도, 압력, 격리)
- 필수보조설비 유지
정답 : 4
72. 출력운전 중 냉각재펌프(RCP)가 모두 정지된 경우 원자로의 자연순환 냉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RCS 압력이 일정 혹은 증가 ② RCS 온도가 일정 혹은 감소 ③ RCS △T ≤ 전출력 △T ④ RCS의 과냉각도 15℃ 이상
RCP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원자로는 즉시 정지되고, 지속적으로 나오는 붕괴열은 자연순환으로 제거한다.
자연순환 유로는 다음과 같다.
1. 노심에서 붕괴열로 물의 온도가 오르고 밀도가 낮아짐
2. 밀도가 낮아진 물이 상승하여 SG 로 이동
3. SG에서 열이 제거되면서 물이 차가워지고 밀도가 높아짐
4. 무거워진 물이 하강하여 다시 노심으로 주입
자연순환 냉각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RCS ΔT ( 온도 차) < 전출력 시의 ΔT
2. RCS 저온관 온도 < SG 온도
3. 고온관 온도가 일정하거나 감소
4. 보조급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SG 압력이 일정 또는 감소
자연순환 냉각이 잘되고 있으면 RCS 압력은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정답 : 1
73. 다음 중 2차 계통에 의한 열제거 증가현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은? ① 급수온도 감소 ② 주증기 격리밸브 닫힘 ③ 주증기 유량 증가 ④ SG 방출밸브 열림
정답 : 2
74. 가압경수로형 원전의 CVCS의 기능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정상분무 불능 시 충전유량 일부를 가압기 분무관으로 공급 ② 유출 및 충전유량을 조절하여 가압기 수위 유지 ③ 설계기준사고 시 RCS에 고농도의 붕산수를 직접 주입 ④ 체적제어탱크(VCT)에 수소를 가압하여 냉각재 내 산소농도 제어
CVCS :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으로 1차냉각계통의 수질관리, 붕소농도 관리, 재고량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1차냉각재 재고량 유지 : 손실되는 양을 보충하여 가압기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
2. 붕소농도 조절하여 임계 유지
3. 가압기 보조살수 제공 : CVCS 충전펌프의 유량 일부로 가압기 보조분무관에서 보조살수를 하여 압력제어를 보조함
4. RCP 축밀봉수 공급 : RCP 축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
5. 1차냉각재 수질관리 : 하이드라진과 수소를 주입해 용존산소 제거. 이온교환기와 화학첨가설비로 pH 조절. 이온교환기로 이온 제거. 여과기로 입자성핵종 제거
보기 3번은 안전주입계통의 기능이다.
정답 : 3
7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원전의 설계 원칙은?
① 다중성 ② 독립성 ③ 다양성 ④ 연계성
다중성 : 같은 기능을 하는 장치를 두개 이상 설치함.
독립성 : 장치들은 서로 물리적,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어, 한 기기의 고장이 다른 기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
다양성 : 같은 기능을 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작동되는 2개 이상의 기기를 설치함.
연계성 : 연계성은 뭔지 모르겠다. 인터록 Inter-Lock을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인터록이란, 기기의 작동에 논리적인 제한을 두어, 운전원의 오조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고장시 안전 : 안전에 중요한 기기는 기능을 잃으면, 안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계.
시험성 : 원전 운전 중에도, 기기가 정상적임을 시험할 수 있도록 설계
문제에서는 보조급수펌프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다. 보조급수펌프는 서로다른 두가지 방법으로 작동한다. 하나는 모터로 구동되는 펌프, 다른 하나는 증기발생기의 증기로 구동되는 펌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