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다음 중 전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방사선을 발생하는 제동복사 현상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① 제동복사에 의하여 연속 엑스선이 발생한다. ② 제동복사는 전자와 상호작용하는 물질의 Z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③ 입사 전자의 최대 에너지가 클수록 제동복사는 더 잘 일어난다. ④ 밀도가 큰 물질을 사용하여 제동복사 발생을 낮출 수 있다.
고에너지 하전입자(주로 전자)가 원자핵 주변을 지나면서 궤도가 바뀌면서 에너지가 감소한다. 그 에너지 감소분만큼 전자기파를 방출하게 되는데 그것이 제동복사선이다.
1번 : 제동복사선은 연속스펙트럼이다. 처음 하전입자의 에너지보다 작은 에너지들이 연속적으로 나온다.
2번 : 제동복사선은 타겟핵의 원자번호가 높을수록 잘 발생한다.
3번 : 전자의 에너지가 클수록 잘 일어난다.
4번 : 밀도가 큰 물질을 사용하면 상호작용이 더 많아지므로 제동복사도 더 많아진다.
정답 : 4
92. 다음 중 방사선 방호에 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의료방사선방호에는 간병인을 제외하고 환자, 의생명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여 방사선을 피폭하는 자원자에 대한 방호가 포함된다. ② 선량제약치는 모든 피폭상황에서 단일 선원으로부터 방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개념이다. ③ 환자 의료피폭을 포함한 계획피폭상황의 규제된 선원으로부터 개인이 받는 총 선량은 규정에 의한 한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④ 선량한도 적용원칙은 기존피폭상황의 결과로서 확실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량에만 적용된다.
피폭상황 : 기존피폭, 계획피폭, 비상피폭
피폭범주 : 의료피폭, 일반인피폭, 직무피폭
1번
의료피폭의 범위
1. 진료 목적으로 받는 개인의 피폭
2. 진료를 받은 임산부의 태내 배태아 또는 모유 수유하는 환자의 유아가 받는 피폭
3. 진료 환자를 간병하는 가족이나 친지가 받는 피폭
4. 방사선을 이용한 의생명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는 연구 자원자가 받는 피폭
여기서 간병인의 경우, 가족이나 친지만 의료피폭에 해당하고 간병이 직업인 전문간병인의 피폭은 직무피폭이다.
2번
선량제약치는 어떤 단일 선원, 의료피폭이 아닌 계획피폭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다. 선량한도만 정해놓게 되면, 어떤 단일선원에 의해 불합리하게 크게 피폭당하는 것을 통제할 수 없다. 그래서 단일선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원별로 한도를 지정한 것이 선량제약치이다. 선량제약치는 모든 피폭상황에서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의료피폭이 아닌 계획피폭에만 적용되고, 다른 상황에서는 비슷하지만 경직성이 약한 개념인 참조준위를 사용한다.
3번
선량한도에 대한 얘기이다. 선량한도는 개인이 받는 계획피폭의 총 선량에 대한 제한치이다.
의료피폭도 계획피폭이지만, 선량한도는 적용되지 않는다.
의료피폭도 선량한도로 제한을 해버리면, 정말 치료받아야할 사람이 치료를 받을 수 없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4번: 선량한도는 의료피폭을 제외한 계획피폭에만 적용된다. 기존피폭과 비상피폭에는 선량한도를 적용하지 않는다.
정답 : 1
93. 5분 동안 시료계수가 510, 자연계수(BKG)는 1시간 동안 2400이다. 시료의 순계수율과 표준편차는 각각 얼마인가?
① 102cpm, 45cpm ② 102cpm, 4.6cpm ③ 62cpm, 4.6cpm ④ 62cpm, 4.4c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