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다음 중 핵비등이탈(DNB) 운전여유도를 높이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원자로냉각재계통 압력 증가 ② 원자로냉각재계통 유량 증가 ③ 원자로 출력 증가 ④ 평탄한 노심출력분포
DNB : 핵비등에서 막비등으로 바뀌는 지점.(위 그림에서 a 점)
막비등으로 바뀌는 순간 열유속이 급격히 낮아져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핵비등이탈이 되지 않도록 해야하며 이를 위해 핵비등이탈비 DNBR을 1.3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합니다.
DNBR = 임계열유속/국부최대열유속
위 그림에서 왼쪽으로 가면 DNBR이 커지는 것이고 더 안전해지는 것입니다.
냉각재계통의 압력이 증가하면 포화온도가 증가하므로 왼쪽으로 이동하여 DNBR은 커집니다.
냉각재 유량이 증가하면 전열면의 온도가 감소하여 마찬가지로 DNBR은 커집니다.
원자로의 출력이 증가하면 온도가 증가하여 DNBR은 작아집니다.
노심출력분포가 평탄하면 국부최대열유속이 평균에 가까워지므로 작아진다. 따라서 DNBR은 커집니다.
정답 : 3번
77. 아래의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관련 계통의 설계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다중성(Redundancy) ② 독립성(Independency) ③ 다양성(Diversity) ④ 시험성(Testability)
이는 다중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독립성 : 어느 계통의 문제가 다른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
다양성 : 같은 기능을 하는 기기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할 것
시험성 : 다른 계통에 영향을 주지않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
정답 : 1번
78. '다중고장'의 정의로 옳은 것은? ① 하나의 기기가 의도된 안전기능 수행능력을 상실하는 고장 ② 설비가 설계기준에 적합하기 위하여 설비의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하는 사고 ③ 단일고장을 초과하여 둘 이상의 기기에 고장이 발생하여 해당 안전기능의 수행능력이 상실되는 것 ④ 정상운전은 아니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자로시설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지 아니하거나 사고상태로 진전되지 아니하는 상태로, 원자로시설의 수명기간 동안 수 차례 발생이 예상되는 운전 상태
3번이 다중고장에 대한 설명입니다.
1번은 단일고장에 대한 설명
2번은 설계기준사고
4번은 예상운전과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상 "원자로시설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2조 내용입니다.
정답 : 3번
79. 다음 중 가압열충격(PTS)을 유발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의 주요 사고가 아닌 것은? ① 원자로 냉각재 상실 사고 ② 증기발생기 전열관 파단 사고 ③ 증기관 파단 사고 ④ 제어봉 낙하 사고
가압된 상태에서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 심한 온도구배가 생기면 용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이를 가압열충격이라고 합니다. 특히 원자로용기는 중성자 조사를 받으면 더 높은 온도에서 취성파괴되기 시작하여 가압열충격에 취약합니다.
가압열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급격한 원자로용기의 냉각을 피해야 합니다.
원자로냉각재 상실사고 : 특히 소형 냉각재 상실사고 시, 압력은 그렇게 크게 감소하지 않습니다. 그 와중에 안전주입계통(비상노심냉각계통)이 작동하여 차가운 비상냉각수가 주입되면 급격히 냉각되어 PTS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기발생기 전열관 파단사고 : 마찬가지로, 안전주입계통이 작동하면서 차가운 냉각수가 유입되어 PTS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기관 파단사고 : 2차계통의 열제거 능력이 증가하면서 1차냉각재계통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PTS를 유발합니다.
제어봉 낙하사고는 관련 없습니다.
정답 : 4번
80. 노심 운전주기말(End of Life, EOL)에 정(+)반응도 삽입을 유발하는 사고 유형이 아닌 것은? ① 주증기관 파열 사고 ② 급수유량 상실 사고 ③ 붕산 희석 사고 ④ 제어봉 이탈 사고
주증기관 파열사고 : 주증기배관이 파열되면 증기가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증기의 유량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증기발생기에서의 열제거가 커지고, 1차냉각재의 온도가 감소합니다. 냉각재(감속재) 온도계수는 음수이므로, 반응도는 증가합니다.
붕산 희석사고 : 붕산수 농도가 낮아져 정반응도가 주입됩니다.
제어봉 이탈사고 ; 마찬가지로 정반응도가 주입됩니다.
급수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2차계통의 열제거 증가로 1차계통의 온도가 낮아지고 정반응도가 주입될 수 있습니다.
급수유량이 상실되면, 증기발생기에서 열전달이 잘 안되고, 1차계통의 온도가 높아집니다. 감속재 온도게수는 음수이므로, 반응도는 감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