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원자력기사 기출문제 풀이/2021년 1회차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원자력기초 11 ~ 15번

꽃게탕~~ 2024. 11. 16. 15:19

 

 

 

11. 핵분열이 없는 매질 내에 등방 중성자 점선원이 존재할 때, 확산 방정식을 통해 계산된 중성자속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중성자속은 중성자 선원으로부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② 중성자 확산계수(D)가 클수록 중성자속이 크다.
    ③ 중성자 확산 면적(L2)은 선원으로부터 중성자가 흡수된곳까지의 직선거리의 평균에 비례한다.
    ④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작을수록 동일 거리에서의 중성자속이 크다.

 

 

흡수매질 내에서, 핵분열이 없는 점선원의 중성자속은 다음과 같다.

 

ϕ(r)=S4πrDer/L

 

1번 : 점선원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중성자)의 플루언스율(중성자속)은 거리에 반비례한다.

 

만약, 흡수매질이 없는 공간에서는 아래 식과 같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이를 거리 역자승원칙이라고 한다.

ϕ=S4πr2

 

2번 :

공간에서의 중성자속 분포에 대한 균형방정식을 세울 때,

중성자속의 변화 = 시간당 생성량 - 시간당 누설량 - 시간당 흡수량 으로 세울 수 있다.

 

확산방정식은 중성자의 누설량을 Fick의 확산법칙을 통해 설명한 방정식이다.

확산방정식에서 중성자 누설은

D2ϕ

로 나타내는데, 확산계수 D가 클수록, 중성자가 더 잘 확산되고 누설되는 양이 많다.

따라서 확산계수가 클수록 중성자속은 작아진다.

 

3번 : 

확산면적

L2=DΣa

 

L은 확산거리인데, 중성자가 생겨서 흡수될 때까지의 거리에 비례하고,

확산거리의 제곱인 확산면적은 중성자가 흡수될 때까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4번

흡수단면적이 작을수록 흡수가 덜 되 중성자속은 커진다.

 

정답 : 4


12. 농축도가 5 w/o인 UO2의 거시적 흡수단면적(Σa)은? (단, UO2의 밀도는 10.5g/cm3, σa(U235)=650b , σa(238U)=3b, sigmaa(O)=0.0003b이다.)
  
  ① 약 0.235 /cm ② 약 0.8385 /cm  ③ 약 1.7925 /cm  ④ 약 3.5245 /cm

 

Σ(UO2)=N(UO2)σ(UO2)

Σ(UO2)=ρAUO2NA(0.05650+0.953+0.00032)

 

5% 농축우라늄의 원자량은

1AU=0.05235+0.95238

AU=237.85

UO2의 원자량은 237.85 + 32 = 269.85

 

정답은 약 0.8385 / cm

 

정답 : 2


13. 천연우라늄으로 된 10 cm 두께의 표적물을 통과한 후, 중성자속이 표적물에 입사할 때의 30%가 되었다. 천연우라늄에 대한 중성자의 평균자유행정거리는? (단, 천연우라늄의 밀도는 19 g/cm3이다.)
 
   ① 약 1.132 cm  ② 약 3.275 cm  ③ 약 5.023 cm  ④ 약 8.305 cm

 

차폐물을 통과한 뒤 남은 중성자속 I 는

I=I0eΣx

 

x = 10, 

I = 0.3 I_0

 

거시적 단면적 Σ=0.12/cm

 

평균자유행정은 거시적단면적의 역수이므로 8.305 cm

 

정답 : 4


 

14. 모든 제어봉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계측기의 계수 값은 100 cps를 가르키고 있으며, 유효 증배계수는 0.94로 계산되었다. 정지제어봉을 완전히 인출한 후 계수값은? (단 정지제어봉의 제어봉 가는 0.032 (△k/k)이다.)
    ① 약 108 cps   ② 약 194 cps    ③ 약 353 cps   ④ 약 542 cps

 

미임계상태라도 중성자선원이 존재하면 중성자는 존재한다.

이를 미임계증배라고 하는데, 무한급수를 생각하면 된다.

 

계수값 C, 선원의 강도 S, 유효증배계수를 k 라고 하면,

선원에서 초당 S개의 중성자가 방출된다.

미임계여서 증배계수 k는 1보다 작고, 단위시간이 흐를 때마다 S는 Sk 으로 감소한다.

Sk개의 중성자는 또 단위시간이 흐르면 Sk*k 가 될 것이고,

충분한 시간이 흐른 상태에서 존재하는 중성자 갯수는 이들 모두가 합산된 무한급수 형태가 된다.

C=S+Sk+Sk2+Sk3+......=S1k

 

k 가 1보다 작으므로 위 식은 수렴하고, 문제에서 측정된 100 cps가 위 무한급수의 값이다.

 

k=0.94 이므로 중성자속의 강도 S = 6 / sec 이다.

 

정지제어봉을 모두 인출한 뒤, 증배계수는,

 

10.941k=0.032

 

k = 0.969 이다.

 

여전히 미임계이므로 미임계증배가 된다.

 

새로운 상태에서 측정되는 중성자 계수값은

C=S1k=610.969=194.5cps

 

 

 

정답 : 2


15. 정상운전 중인 원자로의 핵연료 온도가 50 ℃감소할 때, 50초의 주기로 원자로의 출력이 증가하는 경우, 투입된 반응도는?  (단, λ=0.08 /sec , lp=104sec , βeff=0.007이다.
    ① 5.2e-4 △k/k   ② 9.8e-4 △k/k   ③ 7.8e-4 △k/k   ④ 1.4e-3 △k/k

 

 

투입된 반응도와 주기와의 관계는 역시간방정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ρ=lpT+βeff1+λT

 

T : 주기

λ : 지발중성자 평균붕괴상수

lp : 속중성자 수명

βeff : 유효지발중성자분율

 

값들을 대입하여 풀이해보면 

반응도는 1.402e-3 이다.

 

 

정답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