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원자력기사 기출문제 풀이/2022년

[원자력기사 기출 풀이] 2022년 원자력기초 6 ~ 10번

꽃게탕~~ 2024. 5. 6. 18:59

 

 

6. 중성자 감속재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감속능보다 감속비가 높은 물질이 선호된다.
   ② 흡수단면적이 작은 물질이 선호된다.
   ③ 대수적 에너지 감쇠율은 감속능이 클수록 1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④ 충돌 당 에너지 감소량은 중수소가 수소보다 크다.

 

감속능 SDP=ξΣs

감속비 MR=ξΣs/Σa

감속비는 감속능에 중성자 흡수를 고려해준 것.

 

1번 : 감속능이 좋아도 흡수단면적이 크면 그 물질은 감속재로서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감속비가 더 중요합니다.

2번 : 흡수가 적을수록 감속비가 커지고 좋은 감속재입니다.

3번 : 가장 감속능이 큰 매질은 수소입니다. 수소와 중성자의 질량이 제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위 표를 보시면 수소의 대수에너지 감쇠(ξ)는 1입니다.

4번 : 충돌당 에너지감소량은 ξ 값을 비교해보면 되는데, 보시다시피 중수소가 더 작습니다.

 

정답 : 4번


7. 정상상태에 있는 열출력 3,000 MW 원자로에 부(-)반응도가 삽입되어 40초 후 열출력이 300 MW로 떨어졌다면, 2분 후의 원자로 열출력은 대략 얼마인가?
   ① 1MW ② 2MW   ③ 3MW ④ 4MW

 

원자로의 주기가 T이면 t에서의 출력 P(t)는,

P(t)=P(0)et/T

 

40초 후 출력이 1/10이 되었으므로, 주기 T는 약 17.37 초입니다.

2분 후 출력은

P(120sec)=3000e120/17.37=3MW 

 

정답 : 3번


8. 다음 중 가압경수로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에서 반응도가 낮아질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핵연료 온도 감소     ② 냉각재 온도 증가     ③ Xe-135 생성    ④ 제어봉 삽입

 

PWR은 핵연료온도계수가 부(-), 냉각재 온도계수가 부(-) 로 설계됩니다.

  - 핵연료 온도계수 : 핵연료 단위온도 증가당 반응도 변화

  - 냉각재 온도계수 : 냉각재 단위온도 증가당 반응도 변화

 

1번 : 핵연료 온도가 감소하면 반응도는 증가합니다.

2번 : 냉각재 온도가 증가하면 반응도는 낮아집니다.

3번 : Xe-135는 중성자를 많이 흡수하는 독물질이다. 증배계수 인자 중 중성자이용률(f) 가 감소하므로 반응도는 감소합니다.

4번 : 제어봉이 삽입되면 중성자 흡수가 많아지므로 반응도는 감소합니다.

 

 

정답 : 1번


9. 다음 중 Buckling, B2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단, Bg는 기하학적 버클링, Bm는 물질버클링을 의미한다.)
   ① Bg은 중성자 누설과 관련이 있다.
   ② 높이가 무한인 실린더형 노심에서 Bg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 Bm은 무한한 공간 내에서 중성자의 생성/소멸과 관련있다.
   ④ 초임계 상태에서는 BgBm보다 크다.

 

중성자 확산방정식을 쭉 전개하다보면 기하학적 버클링과 물질버클링의 관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기하학적 버클링은 중성자속의 곡률(구배)를 의미합니다.

원자로 중심에서는 중성자속이 높을 것이고, 원자로 가장자리 끝에서는 중성자속이 0일 것입니다.

이렇게 중성자속은 구부러져 있는데 중성자속이 얼마나 가파르게 구부러져있느냐가 기하학적 버클링(Bg)입니다.

예를들어 무한 평판 원자로에서 중성자속은 무한히 일정하므로 중성자속은 휘어지지 않을 것이고, 기하학적 버클링은 0입니다.

기하학적 버클링이 클수록 원자로 밖으로 누설되는 중성자는 많아집니다.

keff=+

이므로 Bg가 클수록, 누설이 많아지고 미임계가 됩니다.

Bg가 어떤 값보다 크면 미임계이고, 어떤 값보다 작으면 초임계일 것입니다.. 그 어떤 값을 물질버클링(Bm) 이라고 합니다.

Bm=νΣfΣaD

물질버클링은 재료의 핵적특성에 의해 결정되어 그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즉, 임계상태에서는 Bg=Bm

Bg>Bm 이면 누설이 더 많아 미임계.

Bg<Bm 이면 누설이 적어 초임계입니다.

 

2번 : 반지름이 크면 중성자속은 더 평평해질 것이므로, 중성자속의 곡률은 작아질 것이입니다. 그럼 Bg 는 작아질 것입니다.

 

정답 : 4번


10. 다음 중 고속로 또는 고속증식로 (FBR)와 관련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핵분열성 물질이 소모되는 것보다 더 많은 핵분열성 물질이 소모된다.
    ② 전환율이 0보다 큰 원자로를 증식로라고 부른다.
    ③ 냉각재로 Na과 같은 액체금속 및 He과 같은 Gas가 사용될 수 있다.
    ④ Np, Am과 같은 장반감기 TRU 원소를 소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원자로에서는 핵분열성물질이 핵분열하면서 사라지기도 하지만, 핵원료물질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핵분열성물질로 새로 탄생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전환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 전환비( CR, Conversion ratio) 입니다.

 

CR=/

 

즉 N개의 핵분열성물질이 소모되면, 다음에 CR * N개의 핵분열성물질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이 CR 값이 1보다 큰 것을 증식로라고 합니다.

경수로의 경우 CR 값은 0.5

중수로는 0.8 ~ 1

고온가스로는 0.6 ~ 0.8

고속증식로는 1.2 ~ 1.3 정도입니다.

 

2번 : 전환율이 1보다 큰 것이 증식로입니다.

 

나머지는 맞는 설명입니다.

 

정답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