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4 5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2차 원자로안전과 운전 16 ~ 20번

76.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출력운전 중 제어봉 삽입한계 이상 유지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① 제어봉 이탈사고 시 삽입되는 정반응도 제한    ② 정지여유도 유지    ③ 목표값 이내로 축방향 중성자속 분포 유지    ④ 중성자속 분포를 고르게하여 출력분포를 제한치 내로 유지 제어봉을 삽입한계 이상으로 유지한다는 얘기는, 제어봉 높이를 어느 기준 이상으로 높게 인출한 상태로 운전을 한다는 얘기이다. 제어봉 삽입한계를 두는 이유1. 제어봉이 의도치않게 인출되는 경우, 인출되는 길이가 짧아 노심에 들어가는 정반응도의 크기가 제한된다.2. 제어봉이 높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낙하시 삽입되는 길이가 길어져 정지여유도가 더 커지게 된다.(*정지여유도 : 가장 큰 제어봉값을 가지는 제어봉을 제외한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2차 원자로안전과 운전 11 ~ 15번

71.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의 발생빈도 및 주민에 영향을 주는 방사능 준위의 정도에 따라 사고 분류를 하는데, 다음 중 Condition III에 해당하지 않는 사고는?    ① 증기발생기 튜브 파열    ② 중요하지 않은 증기배관 상실    ③ 원자로냉각재 강제 순환 유량의 완전상실    ④ 전출력 운전 시 제어봉 제어군 인출   ANSI N18. 2의 사고 발생 빈도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1. 정상운전(Condition I)   - 발전소가 규정된 운전 제한치와 조건에서 사전에 설정한 계획대로 운전되고 있는 상태   - 발전소 출력운전, 원자로 기동과 정지, 보수, 시험, 핵연료 장전 등을 포함. 2. 보통빈도사건(Condition II)   - 비교적 자주 발생하는 경..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2차 원자로안전과 운전 6 ~ 10번

66. 원자로 냉각재의 붕소농도 제어로 원자로 출력을 100 %에서 50 %로 감소시키고자 한다. 필요한 붕소농도 변화량으로 맞는 것은? (단, Xe등의 독물질 변화량은 고려하지 않는다.)       ① -125 ppm    ② 125 ppm     ③ -250 ppm    ④ 250 ppm  출력계수 : 단위출력 변화당 반응도 변화량. -20 pcm / %power 이면, 출력 1 %가 증가하면 반응도가 20 pcm이 감소한다는 뜻이다.붕소계수 : 붕소 농도 변화당 반응도 변화. 붕소 농도가 1 ppm 증가하면 반응도는 8 pcm 이 감소할 것이다. 출력이 100 % 에서 50 %로 감소한다면, 반응도는 50 * 20 = 1000 pcm 이 증가한다. 이를 모두 붕소가 억제하려면, 1000 / 8 =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2차 원자로안전과 운전 1 ~ 5번

61. 노심 핵연료에서 발생되는 도플러 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핵연료 내부 U-238의 열외중성자 공명흡수 변화량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이다.    ② 핵연료의 온도가 증가하면 공명흡수가 발생되는 중성자에너지 범위가 증가한다.    ③ 핵연료의 온도가 증가하면 공명흡수되는 열외중성자의 총량은 감소한다.    ④ 도플러 효과는 원자로 고유안전성 유지를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도플러효과 : 핵연료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외중성자 공명흡수 피크의 봉우리가 낮아지고 옆으로 넓어지는 (퍼지는) 현상.핵연료의 온도가 증가하면 우라늄 자체의 진동이 커지게 되고, 중성자와 우라늄 핵자 간의 상대속도가 잘 맞아 공명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성자 흡수가 증가한다. 중성자 흡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2차 발전로계통공학 16 ~ 20번

56. 내경이 20cm에서 30cm로 확장되는 원형 배관 내부를 물이 흐르고 있을 때 확장 전후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확장 후 유속은 1.5배 증가한다.    ② 확장 후 유속은 1.5배 감소한다.    ③ 확장 후 유속은 2.25배 증가한다.    ④ 확장 후 유속은 2.25배 감소한다.  단위시간 동안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양은 동일해야 한다. 확장되기 전 유속을 $v_1$ , 배관 단면적을 $A_1$ 이라고 하고,확장된 후 유속을 $v_2$, 배관 단면적을 $A_2$ 이라고 하면, 단위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양, 즉 유량은,$$v_1 * A_1 = v_2 * A_2 = Const $$  $A_1 = 100 \pi $, $A_2 = 225 \pi $ 이므로, $v_2$ 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