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기사 174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1 ~ 15번

91. 다음 중 중성자와 물질과의 상호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탄성 산란에서는 중성자와 원자핵이 충돌하여 산란할 때, 중성자의 에너지 일부가 원자핵을 여기시키는데 사용되고, 여기된 원자핵은 비탄성감마선을 방출한다.    ② 방사 포획 반응에서는 원자핵이 중성자를 포획해 하나 또는 몇 개의 감마선을 방출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감마선을 포획 방사선이라 한다.    ③ 중성자는 흡수반응의 결과로 양성자나 알파입자 등의 하전입자를 방출할 수 있는데, 이 때, 이러한 반응은 발열반응일 수도 있고, 흡열반응일 수도 있다.    ④ 중성자와 원자핵이 충돌할 경우 때때로 (n, 2n)과 (n, 3n)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때 이러한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1. 중성자의 비탄성산란에서,..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6 ~ 10번

86. 기존피폭(Existing Expousure)에 대한 참조준위(Reference Level)은?    ① 1 ~ 10mSv    ② 1 ~ 20mSv   ③ 20 ~ 50 mSv    ④ 20 ~ 100 mSv  참조준위 : 그 이상으로 피폭이 발생하도록 허용하는 계획이 부적당하다고 일반적으로 판단되는 잔여선량이나 위험의 수준 참조준위와 선량제약치는 비슷한 개념인데, 개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선량에 대한 선원 중심의 제한이다.둘 모두 방사선 피폭을 사회적, 경제적 인자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최소화하는 최적화의 과정에 사용된다.피폭으로 얻는 이득이 큰 행위가 있고 작은 행위가 있는데, 이 두가지에 대해 같은 수준의 피폭을 용인하는 것은 불평등하다.사소한 행위에 대해서는 선량한도 이외에 피폭을 일정수준..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 ~ 5번

81. 다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의료상 피폭은 선량한도가 적용되지 않는다.    ② 일반인과 작업자 선량한도에 차이가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위험의 수용준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③ 규제배제는 정상 또는 이상 상황에서 행위로 인한 위험 즉, 선량이 지극히 사소한 경우에 해당된다.    ④ 규제해제는 규제대상이던 선원 또는 행위를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1.의료피폭은 선량한도에 적용받지 않는다.예를들어, 암 치료를 위해서 수십 Gy의 선량을 받아야되는데, 일반인 선량한도 1 mSv를 초과한다고 해서 암 치료를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2.일반인의 선량한도가 방사선작업종사자보다 훨씬 낮다.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1. 위험수용준위가 1/10로 낮음2. 적..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원자로 안전과 운전 16 ~ 20번

76. 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사고 중 저출력 운전상태에서 노심에 더욱 심각한 손상을 줄 우려가 있는 사고는?    ① 원자로냉각재배관 파열사고    ② 주증기관 파열사고    ③ 증기발생기 전열관 파열사고    ④ 가압기 안전밸브 개방사고 주증기관파열사고는 증기발생기에서 터빈으로 가는 주증기배관이 파손되는 사고이다.증기가 급격히 누출되면서 노심의 급격히 냉각되고 반응도는 증가한다. 저출력상태에서는 작은 반응도 증가에도 출력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저출력에서 위험한 사고이다.  정답 : 2  77. 전원상실에 의하여 원자로 냉각재펌프가 정지되면 자연순환에 의하여 노심을 냉각해야 하는데, 자연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압기 수위 유지    ② 가압기 압력 유지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원자로 안전과 운전 11 ~ 15번

71. 출력이 2배로 증가하는데 28초 걸리는 원자로가 있다. 기동률(Start up)으로 맞는 것은?    ① 0.32 dpm   ② 0.64 dpm    ③ 0.72 dpm    ④ 0.84 dpm  기동률 : 단위시간당 출력의 10의 승수배 변화단위 : dpm, decade per minute, 분당 10배 변화 즉, 출력이 1분만에 10배가 되었으면 1 dpm 이고, 1분만에 100배가 되었으면 2 dpm 이다. 기동률을 x [dpm] 이라고 하면, t분 후 원자로 출력 P(t) 는 $$P(t) = P_0 10^{x*t}$$이다. $$ 2 = 1 * 10^{x * 28 / 60} $$ 따라서 기동률은 0.645 dpm  정답 : 2  72. 원자로를 70% 출력으로 운전하다가 붕소희석으로 100%..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원자로 안전과 운전 6 ~ 10번

66. 원자력발전소 기동 시 전출력 도달 후 약 40~50시간 동안 노심의 반응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① 핵연료 연소의 증가    ② 냉각재의 온도변화    ③ Xe의 증가    ④ Sm의 증가  기동 직후 노심의 반응도는 급격히 감소한다. 이는 기동 초기에 독물질인 Xe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반응도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임계를 유지해주기 위해서 제어봉이 급격히 인출되거나  붕소농도가 급격히 감소한다.수십시간 후  Xe이 평형농도에 도달한 뒤에는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반응도는 천천히 감소하게 된다. 핵연료 연소의 증가는 중장기적인 요소이므로 수십시간의 단시간만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냉각재의 온도변화는 단기적인 변화는 맞지만, 노심의 반응도를 제논만큼 크게..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원자로 안전과 운전 1 ~ 5번

61.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제어봉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제어봉군(Control Bank) 간에 중첩(Overlap)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그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균일한 제어봉 제어값 유지    ② 평탄한 축방향 중성자속 분포 유지    ③ HCF(Hot channel Factor)를 제한치 이내로 유지    ④ 제어봉 이탈사고 시 부(-)반응도 삽입 제한 제어봉군끼리 중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1. 균일한 제어봉가 유지 : 노심 상단과 하단에서는 미분제어봉가는 0이다. 이 뜻은, 제어봉군 1개만 인출하면, 인출이 거의 다 되어갈 무렵에는 적분제어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적분제어봉가에 항상 기울기를 주기 위해 제어봉을 중첩해서 인출한다. 2. 평탄한 축방향 중성자..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발전로계통공학 16 ~ 20번

56. 한국표준형 원자력발전소에서 정지냉각계통의 입구에 설치된 저온과압보호(LTOP : Low Temperature Overpressure Protection)설비의 기능을 올바로 설명한 것은?    ① 정지냉각계통 압력이 가압기 압력 이상으로 높아짐을 방지하여 계통압력이 설계압력 이상으로 높아짐을 방지    ② 가압기 만수위 상태에서 원자로냉각재계통의 압력과도현상에 대한 과압보호    ③ 원자로 냉각재 압력에 노출되는 배관의 길이 및 체적의 최소화    ④ 정지냉각운전 시작 시 발생 가능한 붕산희석 가능성 최소화  계통이 저온인 상태에서 압력이 증가하면 취성파괴의 우려가 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지냉각펌프 전단에 저온과압방지를 위한 압력방출밸브가 설치되어 있다.정지냉각운전 중, 압력이 제한치에 도달하..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발전로계통공학 11 ~ 15번

51. 가압경수로형 발전소의 원자로냉각재계통 누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확인누설 : 격납건물 대기로의 누설로 누설탐지계통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압력경계누설이 아닌 것    ② 미확인 누설 : 확인누설과 압력경계누설을 제외한 누설    ③ 증기발생기 튜브를 통한 누설 : 어느 한 증기발생기의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누설    ④ 압력경계누설 : 원자로 냉각재계통의 기기 몸체, 배관 벽, 용기 벽의 누설로 차단할 수 없는 누설  확인누설  - 이미 확인된 누설원으로부터의 누설  - 누설감지계통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음  - 원자로냉각재 보충계통의 용량 이내로 발전소 정상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누설원의 위치를 알더라도, 압력경계누설과 RCP 제어밀봉유출은 확인누설로 보지 않음.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21년 1차 발전로계통공학 6 ~ 10번

46. 직경이 8.6 mm인 어떤 핵연료봉의 표면온도가 349 ℃, 냉각재 온도는 299 ℃이다. 이 때, 핵연료봉의 선형출력(kW/m)은? (단, 대류열전달계수 h는 21,850 W/m^2 ℃로 계산하시오.)    ① 28.0    ② 28.5     ③ 29.0    ④ 29.5  열전달은 크게 3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도 : 접촉한 두 물체 사이에서 분자의 운동에 의해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함. 분자들은 이동하지 않음. (연료봉에서 생성된 열이 연료봉 표면으로 전달되는 과정) 대류 : 액체나 기체 분자가 직접 움직이면서 열을 전달함 (연료봉 표면에서 냉각재로 전달) 복사 : 매개체 없이, 전자기파의 방출을 통해 열을 전달함 (중수로에서 핵연료의 열이 감속재의 중수로 전달) 이중 대류 열전달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