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2 5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9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6 ~ 20번

76. 계획예방정비(OH)후 발전소 재기동을 위해서는 상온의 원자로냉각재를 무부하 운전온도까지 가열하여야 한다. 원자로냉각재 가열을 위해 사용하는 기기는?    ① 가압기 전열기     ② 원자로냉각재펌프    ③ 제어봉    ④ 정지냉각계통 원자로 기동 시, 무부하 운전온도까지는 1차냉각펌프 (RCP)로 가열한다.  정답 : 2  77. 다음 중 후쿠시마 원전사고(2011년) 이후 대두된 후속조치 및 개선 항목이 아닌 것은?    ① 중대사고 대처설비 및 대응강화    ② 가동호기 Stress Test 수행    ③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SA), 주기적 안전성 평가(PSR) 등 종합감시체계 수립    ④ 다수호기 동시피해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  3번. PSA와 DSA는 후쿠시마 사고 이전부터 해오던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9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1 ~ 15번

71. 증기발생기 튜브 파열사고(SGTR) 발생 시 나타나는 증상을 모두 고른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가, 나, 다     ④ 가, 나, 라  증기발생기 튜브파열사고는 증기발생기의 튜브가 파열되어 1차냉각재가 2차측으로 유출되는 사고이다. 가압기 수위 감소 : 1차 냉각재의 재고량이 감소하므로 가압기 수위는 감소한다.손상된 SG 수위 증가 : 1차 냉각재가 증기발생기로 넘어가므로 손상측 SG의 수위는 증가한다격납건물 방사선준위 무관 : 1차냉각재가 격납건물 대기로 유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방사선준위와는 무관하다. 원자로냉각재 과냉각도 감소 : 1차계통의 압력경계가 깨진 것으로, 압력은 낮아진다. 압력이 낮아지면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므로, 끓는점과 현재 냉각재 온도 차이인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9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6 ~ 10번

66. 다음 중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과냉각여유도(Sub-Cooling Margin: SC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현재압력에서의 포화온도와 현재온도의 차이이다.    ② 원자로출력이 증가하면 과냉각여유도는 증가한다.    ③ 과냉각여유도가 ‘0’이면 노심 내 비등이 발생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④ 가압기 온도와 노심출구, 고온관, 저온관 온도 차이로 볼 수 있다. 과냉각여유도의 정의는 보기 1번, 3번, 4번에서 설명해주고 있다. 원자로의 출력이 증가하면, 현재온도가 증가하므로 포화온도와의 차이는 작아져 과냉각여유도는 감소한다.   정답 : 267. 설계기준사고 중 노심에 정반응도가 부가되어 사고 초기 출력이 증가하는 사고는?    ① 원자로 냉각재 상실사고(LOCA)    ②..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9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 ~ 5번

61. 다음 중 출력계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감속재 온도계수    ② 연료 온도계수     ③ 독물질 밀도계수    ④ 기포계수  출력계수 : 단위출력변화당 반응도변화량출력계수는 감속재온도계수, 연료온도계수, 기포계수, 감속재압력계수의 종합적인 효과이다.출력이 변하면, 감속재 온도, 연료온도, 기포함유량, 감속재 압력은 변하고 그에따라 반응도가 변하는데 그 총합이 출력계수이다.이중 감속재온도와 연료온도가 중요하고, 기포와 감속재압력의 효과는 미미하다.  정답 : 362. 중대사고 현상 중 원자로냉각재계통이 감압되지 않고 고압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원자로용기가 파손되면서 고온의 노심용융물이 파편화되어 분출되는 현상은?    ① 노심용융물-냉각수 반응(Fuel-Coolant Interaction..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9년 발전로계통공학 16 ~ 20번

56. 원자력 발전소 사고 시 원자로와 유출 가능성이 있는 방사능으로부터 공중을 보호하기 위한 공학적 안전설비의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① 핵연료 피복재의 용융을 방지한다.    ② 원자로의 격납용기 내의 대기를 최대 온도 및 압력으로 유지한다.    ③ 핵분열생성물 중 방사성요오드 농도를 저감한다.    ④ 비정이 짧은 방사성 핵종이 원활하게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공학적안전설비의 기능A.     핵연료 피복재 보호B.      격납용기 방사성물질 제거C.      냉각재 재고량 확보D.     격납용기 건전성 확보E.      핵증기공급계통 냉각F.      주제어실 건전성 확보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연료 용융 방지이므로 1번이 정답.보기 중에 3번이 좀 애매한데, 격납용기 살수계통은 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