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69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 ~ 5번

81. 다음 중 측정 가능한 물리량이 아닌 것은?    ① 조사선량   ② 흡수선량     ③ 등가선량   ④ 선량당량 조사선량 : 광자가 공기를 전리시킨 정도. 엑스선, 감마선이 단위공기의 질량에 생성한 전하량. C/kg. 측정가능한 양이다. 흡수선량 : 매질 단위질량에 흡수된 방사선 에너지. J/kg 측정가능한 물리량이다. 등가선량 : 흡수선량에 방사선가중치를 곱한 것으로, 같은 흡수선량을 주더라도, 방사선의 선질에 따라 인체의 확률론적 영향에 주는 효과가 다르다. 그 효과를 방사선가중치로 보정한 것이다.방사선가중치는 측정이 안된다. LET와 RBE를 참고하여, 적절히 부여한 값이고, 장기 전체에 대해 평균한 것이다.등가선량은 방호량이지만, 측정할 수 없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선량당량을 측정하여 등가..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6 ~ 20번

76. 다음 중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 튜브 손상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결정입계부식    ② 튜브 감육     ③ 무연성 온도    ④ 마모 증기발생기 튜브 손상 원인1. 응력부식균열 : 불순물로 인한 부식과 구부러진 U 부위에서 잔류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함.  2. 덴팅 : 부식 시 용해된 금속이온이 튜브 틈새에서 금속산화물 슬러지 형태로 누적되어 튜브 지지판 틈새에서 튜브를 안 쪽으로 찌그러들게 함. 3. 감육(Thinning) : 덴팅 후 작아진 내경으로 1차측 냉각재 유속이 증가하여 튜브 내벽의 보호피막이 손상되여 튜브가 얇아짐. 튜브의 2차측 표면은 침전된 슬러지에 의해 부식되어 얇아짐. 4. 점식 : 산화성 분위기와 염소이온에 의해 튜브표면에 작은 구멍으로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1 ~ 15번

71. 가압경수로형 원전에서 정(+)반응도 삽입효과를 주는 사고가 아닌 것은?    ① 붕산 희석    ② 제어봉 인출    ③ 주증기관 파단    ④ 주급수 펌프 정지  붕산 희석과 제어봉 인출은 중성자흡수물질이 감소하는 것이므로 정반응도 효과를 준다. 가압경수로 원전의 감속재(냉각재)온도계수는 부(-) 이다.냉각재의 온도가 오르면 음의 반응도가 들어간다는 얘기이다. 주증기관 파단 : 증기유량이 증가하고, 증기발생기에서 열전달이 더 많이 된다. 즉, 1차냉각재가 과냉각되어 온도가 감소하고, 반응도는 상승한다. 주급수펌프 정지 : 증기발생기에서 2차측의 온도가 오르고, 따라서 1차냉각재의 온도도 오른다. 반응도는 감소한다. 정답 : 372.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주증기 배관파열로 증기 과잉방출사고..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6 ~ 10번

66. 가압경수로형 원전의 과도상태 중 증기발생기 내에서는 수위의 수축과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중 수축의 원인으로 적절한 것은?    ① 터빈출력의 급격한 증발    ② 증기발생기 주증기 안전밸브의 개방    ③ 터빈 정지밸브의 닫힘    ④ 증기우회밸브(혹은 증기덤프밸브)의 개방   증기발생기 상부에서 습기와 증기는 분리된다. 증기는 터빈으로 넘어가고, 습기는 하향유로에서 급수펌프에서 오는 급수와 합쳐져 다시 증기발생기 하부에서 상향유로(관다발지역)로 유입된다. 증기발생기 수위는 하향유로(다운커머)에서 잰다. 수위 팽창 : 증기발생기 상부 증기 압력이 감소하면, 상향유로의 증기 기포는 더 커진다. 물과 증기 혼합체의 부피는 커지고, 이는 하향유로에서 상향유로로 넘어와야 되는 물에 저항을 주어 잘..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로 안전과 운전 1 ~ 5번

61. 어떤 원자로의 감속재 온도계수 $α_{MT} = -1.5*10^{-4} △K/K/℃$이다. 이 원자로의 감속재 온도가 15 ℃ 떨어졌을 때 투입된 반응도는 얼마인가?    ① $0.01×10^{-4} △K/K$     ② $-0.01×10^{-4} △K/K$    ③ $2.25×10^{-3} △K/K$    ④ $-2.25×10^{-3} △K/K$  감속재 온도계수 : 감속재 단위온도 변화당 반응도 변화감속재 온도계수가 음수라는 것은, 감속재 온도가 오를 때 반응도는 낮아진다는 의미이다. 감속재 온도가 15도 떨어졌으니, 반응도는 감속재 온도계수에 15를 곱하면,$-2.25 * 10^{-3} \Delta k/k$ 이다. 정답 : 362. 유효증배계수가 1.002일 때 반응도는?    ① 0.001..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발전로계통공학 16 ~ 20번

56. 다음 중 PWR형 냉각재계통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핵분열 생성물의 수용 및 붕괴열 제거    ② 감속재, 반사체 및 붕소의 운반체 역할    ③ 열충격 방지 및 노심의 반응도 변화 억제    ④ 연료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증기발생기로 전달  1, 2, 4번은 냉각재계통의 기능이 맞다. 1 : 냉각재계통은 압력경계를 형성한다. 핵분열생성물과 다른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격리하고, 붕괴열을 수용한다. 2 : PWR의 1차 냉각재는 감속재와 냉각재의 역할을 겸한다. 냉각재에 붕소가 녹아있어 반응도를 제어한다.PWR에는 반사체가 따로 없다. 문제에서는 경수 자체가 반사체역할을 해준 것으로 보는 것 같다. 4 : 노심에서의 열을 전달받아 증기발생기에서 2차측 급수로 넘겨준다.  3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발전로계통공학 11 ~ 15번

51.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기반으로 국내 원전에 대해 종합 안전점검을 수행하여 개선대책을 도출하였다. 다음 중 도출된 개선대책이 아닌 것은?    ① 이동형 발전차량 및 축전지 등 확보    ② 지진 원자로자동정지계통 설치    ③ 원자로 비상냉각수 외부 주입유로 설치    ④ 안전관련 기기의 주기적인 시험 수행  1, 2, 3번은 후쿠시마의 후속조치이다.이외에도, 내진성능 보강, 방수문 및 방수형배수펌프 설치, 대체 비상디젤발전기 강화, 피동형 수소제거설비 설치, 격납건물 배기/감압설비 설치, 스트레스 테스트 수행 등이 주요 후속조치이다. 4번은 후쿠시마 전에도 계속 해오던 것이다. 정답 : 4번 52. 한국 표준형 원전의 화재진압계통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화..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발전로계통공학 6 ~ 10번

46. 내경이 0.3m인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레이놀즈 수(Re)가 300,000일 때 평균 속도는? (단, 유체의 밀도와 절대 점성계수는 각각 1,000 kg/m^3, 10^(-3) Nㆍs/m^2이다.)    ① 1 m/s    ② 3 m/s     ③ 10 m/s   ④ 30 m/s $$Re = \frac{\rho Dv}{\mu}$$ v : 유체 속도D : 관 직경$\rho$ : 밀도$\mu$ : 점성계수 속도는 1 m/s 정답 : 147.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핵분열생성물 중 냉각재계통으로 누설된 불활성 기체를 제거한다.    ② 출력제어를 위하여 냉각재의 붕산농도를 조절한다.    ③ 충전 및 유출유량을 조절하여 가압기 수위를 제어함으로서 냉각재의 양을 유..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발전로계통공학 1 ~ 5번

41. Dittus-Boelter 상관식을 이용하여 원형관 내부에서 가장 가열되는 유체 유동에 대한 열전달 계산 시 필요한 무차원 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레이놀즈 수 : 프란들 수     ② 레이놀즈 수 : 프라우드 수    ③ 비오트 수 : 프란들 수        ④ 비오트 수 : 프라우드 수  매끄러운 관 내부에서 완전발달한 난류의 경우, 너셀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Nu = 0.023*Re^{0.8}*Pr^{n}$$ Re : 레이놀즈 수Pr : 프란들 수유체를 냉각할 경우 n = 0.4, 가열할 경우 n = 0.3 이다.   정답 : 142. 벤츄리 튜브를 사용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주급수 유량을 측정할 때 필요한 인자가 아닌 것은?    ① 압력 차   ② 유체점도    ③ 유체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핵재료공학 및 핵연료관리 16 ~ 20번

36. 중성자 조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재료의 인장강도가 감소한다.    ② 원자 공공과 침입형을 발생시킨다.    ③ 지르코늄 핵연료 피복재에서 조사성장을 유발한다.    ④ 전위루프와 석출물을 발생시킨다.  재료가 고에너지 중성자에 조사되면 원자공공과 격자간 원자(침입형 원자)가 생성된다. 이 원자공공과 격자간 원자가 이동하면서 다양한 결함을 유발한다. 1. 재료의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증가하는 조사 경화가 일어나고, 연신율이 감소하는 조사 취화가 일어난다. 2.  원자공공과 침입형(격자간 원자)를 발생시킨다. 3. 지르코늄 합금의 조사성장을 유발한다. 원자공공과 격자간원자의 확산에 이방성이 있어서, 지르코늄 합금 결정의 어느 방향으로는 수축이, 어느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