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3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6 ~ 20번

96. 방사선 피폭 시 인체 내 조혈기능 장해로 수개월 내 50%가 사망하는 선량(LD50)은?    ① 0.75 ~ 1.5Gy   ② 1 ~ 2Gy      ③ 3 ~ 5Gy   ④ 6 ~ 8Gy 선량별 증상은 다음과 같다. 단위는 Gy 0.05 ~ 0.25 Gy : 염색체 이상이 발견되는 최소 선량0.25 ~ 0.5 : 백혈구, 임파구의 변화를 집단과의 대조로 판별 가능0.5 ~ 0.75 : 혈액 변화를 개별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0.75 ~ 1.25 : 피폭자의 10 %가 구토를 한다.1 ~ 2 : 구토, 무력증, 혈구수 감소 등의 증상이 발현하고,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발생한다.3 ~ 5 : 조혈기계증후군으로 면역이 저하되 수개월 내 50 %가 사망한다. ( 반치사선량)6 ~ 8 : 위장계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1 ~ 15번

91. 용접부위에 대한 비파괴 검사나 방사선 치료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는 주로 베타붕괴 또는 전자포획을 통해 다른 핵종으로 변환된다. 이 때 베타핵종의 평균수명은 의 반감기의 몇 배인가?    ① 1/2   ② ln2      ③ 1   ④ 1/ln2 붕괴상수를 $\lambda$ 라고 할 때, 반감기는 $ln2 / \lambda$ 평균수명은 $ 1/ \lambda $  따라서 평균수명은 반감기의 1 / ln2 배이다.  정답 : 4 92.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어느 시료를 5분간 계수한 결과 10,000 counts를 얻었다. 이 때 계수율(cpm)과 표준편차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① $ 2000 \pm 100$      ② $ 2000 \pm 20 $③ $ 2000 \pm \sqrt{2000}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6 ~ 10번

86. 내부피폭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방어원칙은 격납, 희석, 차단이다.    ② 선량계측에서 등가선량 또는 유효선량을 평가하기 위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실용량이 정의되어 있다.    ③ 선원장기에서 방출된 에너지가 특정 표적조직에 흡수되는 비율을 흡수분율이라고 한다.    ④ 섭취량을 알 경우 선량환산계수를 활용하여 예탁유효선량을 평가할 수 있다. 내부피폭은 인체 내부로 유입된 방사성핵종에 의한 피폭을 말한다.내부피폭의 방호는 외부피폭과 다르다.외부피폭과는 다르게 차폐를 할 수 없고, 핵종이 몸에서 빠져나가기 전까지 모든 시간동안 피폭된다. 피폭시간을 조절할 수 없다. 외부피폭에서 문제가 되지 않았던 알파핵종과 저에너지 베타핵종의 피폭이 중요해진다. 1번 : 내부피폭의 방어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