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69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핵재료공학 및 핵연료관리 11 ~ 15번

31. 다음 우라늄 농축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원심분리법은 분리계수가 크기 때문에 캐스케이드의 소요단수가 작아도 된다.    ② 화학교환법은 UF6기체를 쓰지 않고 우라늄 용액을 쓰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다.    ③ 노즐법은 분리계수가 작고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④ 기체확산법은 전력소모량이 적고 소량의 냉각수만 필요로 하는 장점이 있다. 원심분리법 : 회전하는 원통 내에서 무거운 분자가 벽쪽에, 가벼운 분자는 중심부로 모이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  - 장점 : 분리계수가 커서 캐스케이드 소요단수가 작다, 소비전력이 기체확산법에 의해 1/10 정도록 작다.  - 단점 : 고도의 기계기술이 필요하다. 1대당 처리능력이 작아 대량 상용화가 어렵다.  화학교환법 :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핵재료공학 및 핵연료관리 6 ~ 10번

26. 다음에서 설명하는 재처리 방법은?    ① 원심분리법    ② 퓨렉스     ③ 용매추출법    ④ 파이로프로세스 마그네슘과 알루미늄 정련과정은 모르겠으나,금속물질로 전환시키고, 플루토늄과 우라늄을 공회수하는 방법은 파이로프로세싱이다. 원심분리법 : 원심력을 이용하여 우라늄을 농축하는 방법이다. 퓨렉스, PUREX : TBP를 이용하여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용매추출하는 습식재처리방법. 유일하게 상용화된 재처리 방법이지만, 플루토늄을 단독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핵확산우려가 있어 극히 제한된 일부국가만 사용하고 있다. 용매추출법 :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상 ( 수용상, 유기상)을 이용하여 두 물질을 분리해내는 것으로, 핵주기에서는 정련, 변환, 재처리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퓨렉스가 용매추..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핵재료공학 및 핵연료관리 1 ~ 5번

21. 다음에서 설명하는 부식의 종류는?    ① 점식(Pitting)    ② 입계부식   ③ 응력부식균열(SCC)    ④ 마모부식  점식 ( pitting ) : 금속 표면에 국부적으로 침식되어 작은 구멍이 생성되는 것. 부식이 좁은 부위에 집중되어 진행속도가 빨라 깊이 진행된다. 내부에 상당한 부식이 진행되어 위험하다. 입계부식 : 금속의 결정립계에서 선택적으로 부식되는 것. 결정립계와 기지 간의 전기화학적 반응성 차이에 기인한다. 표면에서는 부식이 거의 생기지 않아 외관으로 관찰하기 어렵다.  응력부식균열 : 기계적 응력과 화학적 부식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금속에 균열을 내는 것. 항복강도보다 낮은 응력에서도 균열이 생기고, 검출이 어려워 건전성을 위협함. 마모부식 : 유체와 금속 사이 움직임 및..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력기초 16 ~ 20번

16. 감속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맞는 것은?    ① 중성자에 대한 평균 대수에너지 감쇄가 작아야 한다.    ②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커야 한다.    ③ 중성자 산란단면적이 커야 한다.    ④ 비중이 높아야 한다. 감속재 : 속중성자를 산란시켜 열중성자까지 감속시켜주는 물질. 물처럼 감속능력이 좋아야 함. 1. 중성자와 1회 충돌당 대수적으로(log) 감쇠되는 비율을 대수에너지 감쇠라고 한다. 이 것이 커야 산란 시마다 더 크게 감속되기 때문에 커야 좋다. 2. 중성자 흡수가 많으면 핵연료에 흡수되어야할 중성자가 감속재에 흡수되어 좋지 않다. 3. 산란단면적이 커야 감속이 더 잘된다. 4. 비중은 관계없다.   정답 : 3 17. 가연성 독물질을 장전하는 주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력기초 11 ~ 15번

11. 잉여반응도는 원자로를 임계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양 이상으로 장전된 반응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잉여반응도를 장전하는 이유 중 틀린 것은?    ① 제논과 같은 독물질 생성     ② 핵연료 연소   ③ 플루토늄의 생성     ④ 출력결손 주기를 시작할 때, 반응도가 딱 0이되면, 원자로 운전을 시작하자마자 미임계가 되어 운전을 유지할 수 없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임계량보다 더 많은 핵물질을 장전하여 반응도를 0보다 크게 하는데, 이를 잉여반응도라고 한다.즉, 잉여반응도는 주기 진행 중 생기는 부반응도에도 임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부반응도 요소는 다음과 같다.1. 핵연료의 연소2. 출력결손 - 냉각재와 핵연료 온도가 증가하면 반응도가 떨어진다.3. 제논과 같은 독물질의 생성 - 핵분열..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력기초 6 ~ 10번

6. 지발중성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원자로 정지 시 생성도 중지된다.   ② 분열 생성물에서 방출된다.   ③ 대략 KeV 영역의 에너지를 가진다.   ④ 원자로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핵분열 시 2 ~ 3개의 중성자가 방출된다.대부분의 중성자는 핵분열하는 순간에 핵분열생성물과 함께 방출되는데1 %도 안되는 작은 비율로 뒤늦게 나오는 중성자가 있다. 이들을 지발중성자라고 부른다.지발중성자는 불안정한 핵분열생성물이 베타붕괴한 다음 후속적으로 방출되는 중성자이다. 1. 원자로가 정지되면 즉발중성자는 생성이 정지된다. 하지만 핵분열생성물이 붕괴하면서 지발중성자는 일정기간까지는 좀 더 나온다. 2. 분열생성물이 붕괴하면서 방출한다. 3. 지발중성자의 평균에너지는 500 keV 정도이다. 즉..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6년 원자력기초 1 ~ 5번

1. 핵반응에 대한 보존법칙과 관련 없는 것은?   ① 핵자 수 보존    ② 전하량 보존    ③ 운동량 보존    ④ 운동에너지 보존 핵반응에서는 4가지가 보존된다. 1. 핵자 수 보존, 질량수 보존  ( 중성자 + 양성자 수).  주의할 것은 질량 보존이 아니라 질량 수 보존이다.2. 전하량 보존3. 운동량 보존4. 에너지 보존 : 운동에너지 + 정지질량에너지를 합친 에너지가 보존된다. 질량이 보존되지 않는다.에너지는 보존되는데 운동에너지가 보존되는 것이아니라, 질량에너지까지 합쳐진 것이 보존된다. 만약 핵반응 전과 후의 질량이 감소했다면, 감소한 질량만큼의 에너지가 운동에너지 형태로 방출된다. 핵반응 전보다 후의 질량이 더 크다면, 핵반응 전에 충분한 운동에너지가 있어야 핵반응이 성립할 것이다. ..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7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6 ~ 20번

96. 다음 중 방사선 검출기와 검출원리가 맞게 연결된 것은?    ① 반도체검출기와 핵반응    ② 비례계수기와 기체전리   ③ GM계수기와 섬광작용    ④ 포켓선량계와 발광작용 반도체검출기는 고체전리. GM 계수기는 기체전리 포켓선량계는 기체전리이다. 전리라는 것은, 검출기 내부 분자가 방사선의 에너지를 맞아서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기체전리는 기체를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하는 것이고고체전리는 고체격자에서 전자를 분리해내는 것이다. 전자가 떨어져나온 빈 공간은 양공이고, 양의 전하를 가진 것처럼 행동한다.  정답 : 297. 다음 중 흡수선량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방사선에 의해 물질의 단위 질량당 흡수된 에너지를 말한다.    ② 모든 물질에 관해서 단위 질량에서 발생..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7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11 ~ 15번

91. 다음 중 제동복사선 차폐를 고려해야 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① N-16    ② Ni-63    ③ Sr-90    ④ Cf-252  제동복사선은 하전입자가 원자핵의 쿨롱장에 영향을 받아 가속(감속)운동을 하면서 방출하는 전자기파이다. 제동복사선은, 하전입자가 가벼울수록(전자,), 하전입자가 빠를수록(에너지가 높을수록), 원자핵의 원자번호가 높을수록 더 잘 발생한다.   문제에서 N-16은 고에너지 감마선을 내는 핵종이다. 감마선은 하전입자가 아니므로 제동복사선과 무관하다. Ni-63은 최대에너지 67 KeV 의 저에너지 베타선을 낸다. 베타선의 에너지가 낮으므로 제동복사선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 Sr-90은 베타붕괴하여 Y-90이 되고 Y-90은 베타붕괴하여 최대 2.28 MeV 의 강한..

[원자력기사 기출풀이] 2017년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6 ~ 10번

86. Nal(Tl)의 섬광검출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흡수된 방사선 에너지에 비례한다. 이러한 펄스를 크기에 따라 해당 채널에 기록하여 측정되는 방사선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낼 수 있는 장치는?    ① 카운터    ② 파고선별기    ③ 단일채널 파고분석기(SCA)    ④ 다중채널 파고분석기(MCA)  다중채널분석기 MCA에 대한 설명이다. MCA는 펄스의 크기가 크면 높은 채널에 기록하고, 낮으면 낮은 채널에 기록한다. 이러면 방사선 에너지와 채널 넘버의 선형성이 유지되어 방사선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핵종분석을 할 수 있다 카운터는 계측기 본체를 말하는 것 같다.파고선별기는 계측한 펄스의 크기가 작거나 낮은 것은 제외시키는 필터 기능을 해준다. 단일채널 파고분석기는 방사선에너지를 구분하여 기록..